메타버스 기술이 확대되면서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아울러,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도 집중되면서 이를 활용한 플랫폼들도 선보이고 있어 더욱 넓은 분야로 확대될 것으로 보여진다. 전문가들은 메타버스는 현재 기술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실생활에 활용되고 있어 미래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충남도는 국가 6대 디지털 혁신 기술 중 하나인 ‘메타버스’ 기술을 선도해 나아가기 위해 3년 간 200억원을 투입한다.
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메타버스 선도 프로젝트 공모사업’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친환경 중소형 선박 ▲산업단지 고도화 사업을 추진한다.
다음달부터 본격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확장현실·디지털 트윈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과 기존 산업의 융합을 통해 산업 현장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췄으며,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업용 메타버스 플랫폼과 콘텐츠를 개발한다.
친환경 중소형 선박 사업은 최근 국제 해양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해운업계에서 탄소중립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가상환경에서 친환경 선박에 대한 연구 개발이 가능한 테스트베드 구축을 목표로 한다.
산업단지 고도화는 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산업용 메타버스 플랫폼과 콘텐츠를 제작하는 내용이 담겼다.
제품 공정에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해 센서의 신호를 디지털 트윈에 실시간으로 반영, 제품 공정의 문제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공정 과정을 도출하게 된다.
확장현실(XR) 기반의 원격 협업, 작업장 안전 모니터링 등이 가능해지면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휴먼에러와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시간과 비용 절감, 생산성과 업무 효율성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이영조 미래산업과장은 “산업 현장에 메타버스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충남의 산업 경쟁력은 크게 높아질 것이며, 산업 융합형 메타버스 성공 모델을 만들어 첨단 미래기술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